목디스크는 현대인들이 가장 흔하게 겪는 척추 질환 중 하나입니다. 장시간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잘못된 자세로 업무를 보다 보면 어느새 목 통증과 함께 팔 저림 증상이 나타나곤 하는데요. 단순한 근육통으로 여겨 방치하다가는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정확한 이해와 조기 관리가 필요합니다.

목디스크란 무엇인가요?
목디스크는 의학용어로 경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부릅니다. 목뼈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제자리를 벗어나거나 찢어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이로 인해 목은 물론 어깨, 팔, 손가락까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목뼈는 총 7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사이사이에 디스크가 위치해 충격을 흡수하고 목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만들어줍니다.
목디스크의 주요 증상
목디스크 증상은 신경이 눌리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목과 어깨의 뻐근함

아침에 일어났을 때 목이 뻣뻣하고 돌리기 힘들며, 어깨 주변이 무겁게 느껴지는 증상이 가장 먼저 나타납니다. 특정 자세에서 목 통증이 심해지거나 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팔과 손의 저림
한쪽 팔에서 손가락 끝까지 찌릿찌릿한 저림이나 감각 이상이 느껴집니다. 밤에 잠을 자다가 저림 때문에 깨는 경우도 흔하게 발생합니다.
두통과 어지럼증

뒷목에서 시작된 목 통증이 뒤통수로 이어지면서 두통을 유발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어지럽거나 눈이 침침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근력 약화
젓가락질이 어렵거나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고, 팔에 힘이 빠지는 듯한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목디스크 자가진단
고개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증상이 있는 쪽으로 목을 돌렸을 때 팔로 뻗어나가는 통증이나 저림이 발생한다면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팔을 머리 위로 올렸을 때 증상이 완화되는 것도 특징적인 소견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MRI 검사를 통해 디스크의 상태와 신경 압박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목디스크를 유발하는 원인과 생활습관

목디스크는 잘못된 생활습관이 누적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스마트폰을 고개 숙인 채 장시간 사용하는 거북목 자세, 높은 베개를 사용하는 습관, 한쪽으로만 가방을 메는 행동 등이 목뼈에 지속적인 부담을 줍니다. 특히 컴퓨터 모니터가 눈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면 목이 앞으로 구부정해지면서 디스크에 압력이 가해지게 됩니다. 나이가 들면서 디스크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고 탄력성이 떨어지는 퇴행성 변화도 주요 원인이 됩니다.
목디스크 단계별 관리방법

목디스크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관리 방법이 달라집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고 목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만으로도 충분히 호전될 수 있습니다. 물리재활 프로그램과 함께 생활습관 개선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약물이나 주사를 통해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는 비수술적 접근을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대부분은 꾸준한 관리를 통해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지만, 신경 압박이 심하거나 근력 약화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최소 침습적 방법을 통한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목 통증이 시작되었을 때 방치하지 않고 조기에 정확한 상태 파악을 하는 것입니다. 일상에서 30분마다 목 스트레칭을 해주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적절한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는 등의 작은 실천이 모여 건강한 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서울 내 추천 정형외과
목디스크 치료를 위해 해당 지역에서 방문할 만한 의료기관을 소개합니다.
1. 서울센트럴병원 (관악구)
관악구에 위치한 척추관절 전문 의료기관으로 정형외과와 신경외과 진료를 제공합니다. 전문의 7인, 대학병원급의 장비를 통해 디스크 질환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과 다양한 치료 옵션을 제공합니다.
2. 동부제일병원(중랑구)
중랑구에 위치한 종합병원으로, 최신 의료장비와 숙련된 의료진이 조화를 이루며, 양질의 진료환경을 제공합니다.
3. 세브란스병원 (서대문구)
서대문구 신촌에 위치한 국내 최초의 서양식 병원으로 1885년 설립된 연세대학교 의료원 소속 상급종합병원입니다. 국내 최고 수준의 의료진과 첨단 의료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특히 암, 심장, 뇌혈관 질환 등 중증 질환 치료에 강점을 보입니다.
4. 서울아산병원 (송파구)
서울아산병원은 국내 최대 규모의 종합병원으로, 연간 수백만 명의 환자에게 진료와 연구, 교육을 함께 수행하는 대한민국 대표 상급종합병원입니다.
5. 서울대학교병원 (종로구)
국가중앙병원으로서 난치성 희귀질환 치료와 연구를 선도하고 있으며, 의학 교육과 연구 기능을 겸비한 대한민국 대표 상급종합병원입니다.